L4와 L7 로드 밸런서의 구조 및 성능 비교

L4와 L7 로드 밸런서 소개 로드 밸런서는 현대의 IT 인프라에서 필수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해야 하는 웹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로드 밸런서를 통해 서버의 부하를 효과적으로 분산함으로써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로드 밸런서는 네트워크 계층에 따라 L4와 L7로 구분되며, 각각의 계층에서 트래픽을 처리하는 방식과 기능이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L4와 L7 로드 … 더 읽기

실시간 음성 및 영상 스트리밍을 위한 WebRTC 아키텍처

WebRTC란 무엇인가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는 웹 브라우저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음성 및 영상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사용자가 별도의 플러그인이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도 브라우저 내에서 직접 실시간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WebRTC는 구글이 처음 개발을 주도했으며, 현재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HTML5와 함께 … 더 읽기

Hybrid Encryption 아키텍처 설계: AES와 RSA의 조화

하이브리드 암호화란? 하이브리드 암호화는 두 가지 암호화 방식을 결합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대칭 키 암호화와 비대칭 키 암호화를 조합하여 그 장점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대칭 키 암호화는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를, 비대칭 키 암호화는 RSA(Rivest-Shamir-Adleman)를 주로 사용합니다. 대칭 키 암호화는 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인 반면, 키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비대칭 키 암호화는 키 … 더 읽기

OAuth2.0 클라이언트 인증 흐름에서 PKCE 활용 전략

OAuth2.0과 PKCE 소개 OAuth2.0은 인터넷 사용자가 자신의 자격 증명을 공유하지 않고도 타사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주로 소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할 때 사용되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편리한 인증 과정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OAuth2.0은 기본적으로 보안에 취약할 수 있는 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PKCE(Proof Key for Code Exchange)라는 방식이 도입되었습니다. … 더 읽기

대규모 백엔드 시스템을 위한 Event Sourcing 설계

Event Sourcing의 개념 Event Sourcing은 데이터의 상태를 이벤트의 연속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패턴입니다.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는 현재 상태만을 저장하여 상태 변화를 추적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Event Sourcing을 사용하면 모든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가진 대규모 시스템에서 유용합니다. 각 이벤트는 도메인 내에서 의미 있는 단위로 정의되며, … 더 읽기

시스템 아키텍처의 CAP 이론 실제 적용 사례 분석

CAP 이론이란 무엇인가 CAP 이론은 분산 시스템에서 데이터 관리의 세 가지 핵심 속성인 일관성(Consistency), 가용성(Availability), 네트워크 파티션 허용(Partition Tolerance)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Eric Brewer가 2000년에 제안하였으며, 분산 시스템 설계의 기본 원칙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CAP 이론은 이 세 가지 속성 중에서 동시에 두 가지만 충족할 수 있으며, 세 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기는 어렵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일관성은 … 더 읽기

Redis Cluster와 Sentinel 구조 비교 및 장애 복구 전략

Redis 개요 Redis는 고성능의 오픈 소스 인메모리 데이터 구조 저장소로, 데이터베이스, 캐시, 메시지 브로커로 사용됩니다.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며, 빠른 속도와 확장성을 자랑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전 세계의 많은 기업들이 Redis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이유가 되었습니다. Redis는 기본적으로 싱글 인스턴스로 작동하지만, 고가용성과 확장성을 위해 클러스터 및 Sentinel 구조를 제공합니다. Redis 클러스터 구조 클러스터의 기본 개념 Redis … 더 읽기

쿠버네티스 Operator 패턴 설계 및 실제 활용 사례

쿠버네티스 Operator란? 쿠버네티스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확장 및 운영을 자동화하는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쿠버네티스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 바로 ‘Operator 패턴’입니다. Operator는 쿠버네티스의 Custom Resource를 기반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수명 주기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확장입니다. 이는 고유한 애플리케이션의 도메인 지식을 코드화하여 자동화된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Operator의 기본 기능 Operator는 일반적으로 쿠버네티스 API를 확장하여 새로운 … 더 읽기

프로세스 간 통신 메커니즘 심층 분석: SHMM, FIFO, 메시지 큐

프로세스 간 통신이란? 프로세스 간 통신(Inter-Process Communication, IPC)은 운영 체제에서 서로 분리된 프로세스들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입니다. 현대의 운영 체제는 대부분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됩니다. 그러나 이 프로세스들은 메모리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 직접 정보를 공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프로세스 간 통신 메커니즘이 필요하게 됩니다. IPC는 같은 시스템 내의 프로세스들 … 더 읽기

리눅스 커널 IO 스케줄러 분석: CFQ, BFQ, Kyber

리눅스 IO 스케줄러란? 리눅스 운영체제는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 IO 스케줄러라는 기능을 사용합니다. 이는 디스크 입출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O 스케줄러는 디스크 요청을 정리하고 최적의 순서로 처리하여 디스크의 탐색 시간을 줄이고 처리량을 최대화합니다. 리눅스 커널은 여러 종류의 IO 스케줄러를 제공하며, 각 스케줄러는 고유한 알고리즘을 통해 다른 장점과 단점을 … 더 읽기